티스토리 뷰

“작은 자나 큰 자나 부자나 빈궁한 자나 자유한 자나 종들로 그 오른손에나 이마에 표를 받게 하고, 누구든지 이 표를 가진 자 외에는 매매를 못하게 하니, 이 표는 곧 짐승의 이름이나 그 이름의 수라. 지혜가 여기 있으니 총명있는 자는 그 짐승의 수를 세어보라. 그 수는 사람의 수니 666 이니라”
(요한계시록 13장 16~18절)

요한계시록과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 같은 것은 종교를 믿거나 믿지 않는 사람들조차도 가끔 들추어 보는 미래 예언서이다.

최근 미국 정부가 시범적으로 도입한 RFID 여권 정책과 요한계시록의 비교는 단순하지만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여권을 소지한다는 것은 자기 나라가 아닌 외국에서는 당연한 일이다. 즉, 언제 어디서나 여권을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몸에 RFID를 부착시킨 것과 별반 다른 점이 없다.

나라 곳곳에 RFID 리더기를 설치하여 둔다면, 마치 우리 나라의 요일제 승용차 감시 RFID 시스템과 다를 바 없어진다.

서울시의 승용자 요일제 RFID 시범 사업은 특정 지역에 RFID 리더를 설치하여 지나가는 승용자의 요일제 스티커의 RFID 신호를 포착하여 그 차량이 요일제 준수 차량인지 아닌지를 알아내는 시스템이다. 그리고 위반할 경우 이를 운전자(차량 소유주)의 핸드폰으로 경고 문자를 보내는 시스템이다.

만일, 미국을 방문하는 모든 여권에 RFID가 부착된다면, 심각한 개인정보 문제가 생길 것이다. 테러리스트들의 모든 행적을 감시할 수도 있겠지만, 마음만 먹으면 어떤 개인의 사적인 행적을 모두 감시할 수 있는 것이다. RFID를 부탁한 것이 비록 사람 자체는 아니지만 우리나라 요일제 스티커와 다를바 없는 것이다.

전자태그로 불리는 RFID의 편리함만을 강조했지만, 실제 사람에게 RFID를 부착하게 된다면 엄청난 사생활 침해를 유발시킬 수 있다.

서울시 교통카드 시스템 역시 개인 사생활 정보 수집이라는 원래의 순기능 외의 역기능이 소개된 바 있다. 교통카드 역시 초 단거리 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하는 RFID 시스템이어서 여권 RFID 시스템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교통카드를 이용한 나의 행적이 기록되고 있고 이를 누군가가 활용할 수 있다면 어떻겠는가?

예를들어,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고유 정보와 패턴을 분석하여, 기업의 마케팅 프로모션용도로 사용한다면 어떻게 될까?

직장인 A씨는 거의 매일 비슷한 경로를 통해 출퇴근을 한다. 그는 집에서 마을버스를 타고 구로공단 역에서 2호선을 타고, 사당역에 내려 4호선을 타고 서울역 부근 직장에 내린다. 퇴근 때는 마찬가지로 역방향으로 퇴근을 한다. 그리고 출퇴근 시간은 거의 일정하다.

어느 여름날이었다. 우산도 미처 준비하지 못했는데, 구로공단역에 내리자 비가 억수같이 쏟아진다. 그때 A씨의 핸드폰으로 한통의 문자가 날아든다. '근처에 있는 지하철 가판대에 들르시면, 평소 1만원하는 고급 우산을 5천원에 드립니다. 가판대에는 교통카드로 결제하세요'

뭐, 만들어낸 이야기이고, 단순히 마케팅이라면 상관이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것이 내 인생의 모든 기록을 저장하고 있다면? 나의 하루 일정이 모두 기록이 되어 어딘가에 저장되고 있고, 그 정보가 팔린다면?

끔찍한 상상이 아닐 수 없다.

RFID 전자태그는 편리함이 녹아 있지만, 사람에게 적용한다면 그 사람의 꼬리표가 될 수 있다.

참고 : ZDnet 기사 '전자여권, 심각한 보안 위기에 직면'
반응형
댓글